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엘리어트 파동이론_조정파동의 종류
    차트공부 2022. 10. 10. 16:18

     

    엘리어트 파동이론에서 임펄스 5파는 말처럼 충격파로서 변동성이 쉽게 알아차릴만큼 큰 반면에

    조정파동은 가격조정 형태도 있지만 시간조정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단순한 abc조정이라 해도 소파동 안에 535 (임펄스-abc-임펄스)의 패턴을 함께 보아야하고,

    이중 지그재그 패턴이나 혼합형 패턴이 나오는 경우 카운팅을 포기할만큼 사람을 지치게 만드는 파동이다.

    그래서 각각의 파동 법칙을 정리해보고 엘리어트파동을 마스터 해보도록 하자.

     

    우선 이 포스팅은 조정파동의 종류에 대해 목차의 개념으로 간단히 살펴본다.

     

    본절이라도 해야하나 고민중인 박씨

     

     

     

    우선 가장 일반적인 지그재그 패턴이다.

    지그재그 패턴 535

     

     

    지그재그는 이중으로 나올 수도 있다.

    이중지그재그 53535

     

     

    플랫패턴은 기본형, 확장형, 유동형 세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기본플랫형 335

     

     

    확장플랫형 335

     

     

    유동플랫형 335

     

     

    삼각형은 상승형, 하락형, 수렴형, 확산형으로 나눌 수 있다. (상승/하락형은 쐐기형도 있다.)

    삼각형 33333

     

    가장 카운팅이 어려운 혼합형이다.

    2중3파 (Double Triple)

    조정파동 두 개와 중간에 접속파동이 만든 모양이다. 여러 조합으로 나올 수 있다.

    심화편에서 법칙을 자세히 보고 오늘은 모양만 보자. 

    복합조정도 결국에는 ABC조정이 본질이다.

    플랫+abc(접속파)+플랫  W(335) X(535) Y(335)로 나온모양

     

     

    3중3파 (Triple Three) 

    마찬가지로 조정파동 세 개와 중간에 접속파 두 개가 합쳐진 모양이다.

    플랫+X+지그재그+X+삼각형 W(335)-X(535)-Y(535)-X(535)+Z(33333)

     

     

    조정파동의 종류에 대해서는 대략 살펴보았고

    이제 다음 포스팅 부터는 하나하나의 법칙들을 살펴보도록 하자.

     

Designed by Tistory.